공돌이의 지식 저장소

iptime 공유기 포트 포워딩 + DDNS 하는 법 본문

SERVER

iptime 공유기 포트 포워딩 + DDNS 하는 법

도오라에몽 2023. 6. 15. 16:41

본 포스트는 개념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고 설정 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춰 적는다. 그리고 각 공유기 회사마다 설정 방법이 상이하므로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많이 사용하는(내가 가지고 있는 ㅎㅎ..) iptime 모델을 기준으로 작성한다.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 설정

포트 포워딩이란 쉽게 말하면 한 공유기(라우터)에 여러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데 시스템 외부에서 공유기(라우터)에 들어오는 신호를 공유기(라우터)에서 설정한 규칙에 따라 특정 장치로 보내겠다고 약속을 하는 것이다.

iptime에서는 공유기 설정을 할 수 있는 주소를 제공하는데 그 주소는 바로 192.168.0.1(클릭) 이다.
주소에 접속을 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관리도구(이미지에서 빨간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로 들어가서 문제가 없다면 공유기를 설정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온다.
그러면 포트포워딩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찾아야 한다. (참고로 본인 공유기가 포트포워드를 지원하지 않는 기종일 수 있으므로 확인해보자! 그리고 같은 회사에서 만들어진 공유기라고 해도 기종에 따라 메뉴 구성이 조금 다른 모양이므로 그 부분도 고려해야한다!)

참고로 페이지는 아래와 같이 생겼고 빨간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을 본인 환경에 맞게 설정하자. (내부 IP 주소도 공유기에서 확인 가능하니 잘 찾아보자!)

예를 들면 외부 요청이 http 프로토콜을 통해 들어오고 내부 서비스가 port 3000을 사용하면 외부 포트는 80, 내부 포트는 3000으로 설정하면 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내부 포트와 외부 포트를 일치시키고 내부 시스템에서 iptables에다가 규칙을 추가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인이 TCP 통신을 사용 안한다면 그 환경에 맞춰서 바꾸면 되겠다.

설정 값을 다 넣으면 적용 버튼을 누르면 포트 포워딩 설정은 끝났다.

DDNS(Dynamic Domain Name System) 설정

먼저 DNS(Domain Name System)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리가 보는 URL은 문자열로 이루어졌지만 실제로는 192.168.0.1과 같이 IP 주소로 이루어져 있다. 실제로 IP 주소로 운영을 하게 되면 어떤 사이트가 어떤 사이트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기억하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고 이 대안으로 나온 것이 www.google.com과 같은 문자로 이루어진 도메인을 사용하자는 것이다. 즉, DNS란 IP 주소를 www.google.com 같은 문자열로 짝지어주는 시스템이다.

그럼 DDNS가 왜 필요한가 하면 일반적으로 가정용 인터넷 회선은 유동 IP를 사용한다. 하지만 DNS 방식을 사용하려 하면 IP 주소가 고정되어 있어야 하는데 할당되는 IP가 계속 바뀌니 URL과 실제 IP 주소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IP 주소가 바뀌면 DNS가 동적으로(dynamic) 바뀔 필요가 있데 이를 해결해주는 것이 DDNS다. 물론 DN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그렇게 되면 비용도 같이 들어가게 된다.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참고로 포트 포워딩과 마찬가지로 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모델이 있을 수 있으니 확인해보자!)


이미지에 빨간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만 채워서 등록을 하면 된다.
참고로 이미지는 성공 화면이다. 등록되지 않으면 등록시간 정보가 안뜬다. 그리고 이 서비스는 제품 하나당 단 한게의 DDNS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제 서비스를 실행해서 도메인을 통해 접속하면 되겠다!!

Comments